반응형
과거 조상님들의 계약서, 유산 분할 문서, 공문서 등을 보다 보면 낯선 한문 숫자들이 등장하곤 합니다. 바로 한자 숫자와 갖은자(大寫字)인데요. 이 글에서는 과거 문서 해독에 필수적인 한자 숫자 표기법을 정리해드릴게요. 특히 금액이나 계약 관련 문서에서 많이 보이는 갖은자 숫자 표기법은 위조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특별한 방식입니다.
👉 한문 계약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면? 이 글로 한방에 해결하세요!
✅ 1. 한자 숫자 표기의 두 가지 종류
과거 문서에서 숫자는 크게 정자(일반 숫자 한자)와 갖은자(대사자)로 나뉩니다.
아라비아 숫자 | 정자(일반 한자) | 갖은자(대사자) | 읽기 |
0 | 〇, 零 | 零 | 영 |
1 | 一 | 壹, 壱 | 일 |
2 | 二 | 貳, 弍 | 이 |
3 | 三 | 參, 叁, 参 | 삼 |
4 | 四 | 肆 | 사 |
5 | 五 | 伍 | 오 |
6 | 六 | 陸 | 육 |
7 | 七 | 柒 | 칠 |
8 | 八 | 捌 | 팔 |
9 | 九 | 玖 | 구 |
10 | 十 | 拾 | 십 |
100 | 百 | 佰 | 백 |
1000 | 千 | 仟, 阡 | 천 |
10000 | 萬 | (갖은자 없음) | 만 |
📌 특이 표기
- 20: 卄 (이십)
- 30: 卅 (삼십)
- 40: 卌 (사십)
→ 한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,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종종 등장합니다.
🧐 2. 왜 ‘갖은자’를 썼을까?
**갖은자(大寫字)**는 단순히 멋을 내기 위한 한자가 아닙니다.
바로 위조 방지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 것이죠!
- 획수가 적은 一, 二, 三은 쉽게 추가하거나 변조가 가능하기 때문에,
👉 壹, 貳, 參처럼 복잡한 한자를 사용해 위조를 어렵게 만들었습니다. - 특히 계약서, 금전 관련 문서, 영수증 등에 자주 사용되었습니다.
- 연도 표기에는 보통 〇(공)을 사용합니다.
예: 2021년 → 二〇二一年 (갖은자 아님)
💰 3. 실제 표기 예시로 이해하기
📌 숫자 → 갖은자 변환 예시
- 21 → 貳拾壹
- 1,234,567 → 壹百貳拾參萬肆仟伍佰陸拾柒
📌 금액 표기 예시
2,134,567,890원 →
金貳拾壹億參仟肆佰伍拾陸萬柒仟捌佰玖拾圓整
💡 포인트:
- 앞에 “金”, 뒤에 “整” 을 붙여 위조 여지를 차단합니다.
- 圓은 오늘날의 ‘원(₩)’, 整은 ‘끝’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요.
📚 4. 추가 참고사항
- 갖은자가 없는 숫자: 萬(만), 億(억), 兆(조) 등 큰 단위는 정자 그대로 사용.
- 잘 쓰이지 않는 갖은자: 肆(4), 陸(6), 柒(7), 捌(8), 玖(9), 仟(1000) 등은 문서에 따라 생략되거나 정자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〇 vs 零:
- 零은 공식적인 정자
- 〇은 속자 혹은 기호로, 연도나 공문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✍️ 마무리: 고문서 해독의 첫걸음
요즘은 잘 사용되지 않지만, 과거의 부동산 계약서, 유언장, 공문서에는 여전히 이 한자 숫자 표기가 등장합니다. 고문서를 읽거나 해석할 때, 이 갖은자 체계를 이해하고 있다면 훨씬 수월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요.
🔍 혹시 고문서 해석에 도움이 필요하시거나, 직접 해독한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!
반응형
'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사무직 일잘러의 비밀? AI 툴로 시간 관리 & 업무 자동화 완전 정복! (1) | 2025.04.24 |
---|---|
요즘 제일 많이 쓰는 AI 도구 TOP 5|ChatGPT 말고도 이런 게 있다고? (1) | 2025.04.20 |
AI와 대화하며 스피킹 실력 향상! (초보 추천, 무료 도구, 실전 예제) (3) | 2025.03.04 |
AI로 영어 공부! ChatGPT 활용 완벽 가이드 (2) | 2025.0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