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갖은자1 📜 과거 공문서의 숫자 표기법! 한문 숫자 갖은자 정리 총정리 과거 조상님들의 계약서, 유산 분할 문서, 공문서 등을 보다 보면 낯선 한문 숫자들이 등장하곤 합니다. 바로 한자 숫자와 갖은자(大寫字)인데요. 이 글에서는 과거 문서 해독에 필수적인 한자 숫자 표기법을 정리해드릴게요. 특히 금액이나 계약 관련 문서에서 많이 보이는 갖은자 숫자 표기법은 위조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특별한 방식입니다. 👉 한문 계약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면? 이 글로 한방에 해결하세요!✅ 1. 한자 숫자 표기의 두 가지 종류과거 문서에서 숫자는 크게 정자(일반 숫자 한자)와 갖은자(대사자)로 나뉩니다.아라비아 숫자정자(일반 한자)갖은자(대사자)읽기0〇, 零零영1一壹, 壱일2二貳, 弍이3三參, 叁, 参삼4四肆사5五伍오6六陸육7七柒칠8八捌팔9九玖구10十拾십100百佰백1000千仟, 阡천1000.. 2025. 4. 19. 이전 1 다음 반응형